/ 03

Space of Trust to Design Time

Investment enriches our lives only when it strictly adheres to the time, plans, and principles.

People & Culture

The Best
Synergy
No Free Riding
Long Term
Independent Thinking

Global Insights

We provide independent research from global perspectives and the best investment services to our clients.
img
What We Do
Investment changes our lives.
We design the house of investment, the foundation of affluent life.
We ardently nurture it for a long time together with our clients.

Our mission is to invest,
to build the foundation of life
and to establish a robust space of trust
through time and compound interest, planning and designing.

We have been providing global investment services since our incorporation in 2014.
Our investment philosophy is based on independent research, global insights, and principles.
We will continue to build up the best investment company with our true professionals.
Latest from TEKTON
  • Global IPO Report

    Global IPO Report #69_MIXUE Group - 중국 최대 신선음료 체인점

     중국 최대의 버블티·신선음료 체인점 기업 Mixue (미쉐)가 3월 3일 홍콩시장에 상장되었습니다. 천이백원 정도의 가성비 버블티, 생과일 주스, 차, 아이스크림, 커피를 판매하는 프랜차이즈로, 젊은 소비자를 주타겟으로 했습니다. 성장 중인 2, 3선 도시에 집중하여 매장을 늘렸고, 글로벌 확장에 성공했습니다. 자체 공급망 완비로 유명하며, 농장 운영, 원재료 조달, 물류를 직접 책임지며, 비용 통제를 철저히 합니다. 미쉐의 공모가는 202.5 HKD였으며, 4월 2일 현재가는 420 HKD입니다. 공모금액은 34.5억 HKD로, 올해 홍콩시장 최대 규모의 상장이었습니다. 시가총액은 원화기준 약 29.9조원입니다. 공모금은 공급망 강화, 생산 시설 확장과 제품 라인업 강화에 쓰일 예정입니다. 매장에서 음료를 준비해주는 글로벌 신선음료 시장은 2023년 기준 7,791억 미달러 규모입니다. 시장이 포화되어 있는 미국과 유럽등 선진국에서와 달리 중국과 동남아시아에서 특히 빠르게 성장할 것으로 예측됩니다. 미쉐는 2023년 GMV 기준 중국 시장 1위 (점유율 11.3%), 세계 시장 4위 (점유율 2.2%)의 기업으로, 시장과 함께 성장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CONTENTS  - 중국 최대의 신선음료 체인점, 젊은 층을 타겟으로 박리다매 전략 성공- 노점에서 세계 최대 프랜차이즈로- 대주주 Zhang 형제- 탄탄한 음료 원자재 공급망을 통한 매출- 중국과 동남아시아신선음료 시장 빠른 성장 기대  출처:  REUTERS/Tyrone Siu * 본 조사분석(리서치) 자료 및 영상은 당사가 신뢰할 수 있는 자료 및 정보로부터 얻은 것이나, 당사가 그 정확성이나 완전성을 보장할 수 없으므로 투자자 본인의 판단과 책임하에 종목 선택이나 투자시기에 대한 최종 결정을 하시기 바랍니다. 따라서 본 조사분석자료 및 영상은 어떠한 경우에도 고객의 증권투자 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의 증 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본 조사분석자료 및 영상의 지적재산권은 당사에 있으므로 당사의 허락 없이 무단 복제 및 배포할 수 없습니다.    
    img
  • Global IPO Report

    Global IPO Report #68_CoreWeave - AI 개발 기업을 위한 클라우드 컴퓨팅 기업

     클라우드 컴퓨팅 기업 CoreWeave (코어위브)가 2025년 3월 28일 미국 나스닥 시장에 상장할 예정입니다. 인공지능 개발에 필요한 GPU에 맞는 클라우드 컴퓨팅 인프라를 제공하는 데에 특화되어 있습니다. 엔비디아가 지원하고, 마이크로소프트, 메타, IBM, 오픈AI 등을 고객으로 두고 있습니다. 코어위브의 공모가는 $47에서 $55 사이로 예상되며, 공모금액은 27억 달러로 추정됩니다. 올해 최대 규모의 상장이 될 것입니다. 시가총액은 원화기준 약 47조원으로 예상됩니다. AI 산업의 폭발적 성장에 발맞추기 위해 25만개가 넘는 엔비디아 칩을 확보했으나, 그 과정에서 상당한 부채가 생겼으며, 공모금은 부채 상환과 재정확충을 위해 쓰일 것으로 보입니다. 글로벌 클라우드 컴퓨팅 시장은 2024년 기준 7,531억 달러 규모로, 많은 기업들이 운영을 간소화하고 유연성을 확대하여 효율성을 재고하기 위해 클라우드를 도입하고 있습니다. 작업 자동화, 오류 감소, 비용 절감 등의 이점이 있고, 클라우드와 AI를 함께 작동시켜 대량의 데이터를 분석하고 시스템을 개선할 수도 있습니다. 코어위브는 AI 개발 기업들에게 맞는 클라우드 서비스를 제공하며, AI 산업 성장과 함께 빠르게 성장할 것으로 기대됩니다.이며CONTENTS - 선도적인 클라우드 컴퓨팅 기업- 확보한 GPU로 성공적 리브랜딩- 기술 기업 전문 펀드들과 엔비디아의 투자- AI 개발에 특화, 대형 고객들과 함께 성장- AI 산업의 성장과 함께 폭발적 성장 출처: REUTERS/Brendan McDermid * 본 조사분석(리서치) 자료 및 영상은 당사가 신뢰할 수 있는 자료 및 정보로부터 얻은 것이나, 당사가 그 정확성이나 완전성을 보장할 수 없으므로 투자자 본인의 판단과 책임하에 종목 선택이나 투자시기에 대한 최종 결정을 하시기 바랍니다. 따라서 본 조사분석자료 및 영상은 어떠한 경우에도 고객의 증권투자 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의 증 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본 조사분석자료 및 영상의 지적재산권은 당사에 있으므로 당사의 허락 없이 무단 복제 및 배포할 수 없습니다.   
    img
  • News

    [기사] "관세전쟁 공포에 美증시 단기 조정 받을 때가 투자 적기" - 2025.3.21 중앙일보

    남동준 텍톤투자자문 대표는 중앙일보와 인터뷰하며 “최근 미국 증시의 변동성은 저가매수 기회"라고 말했다. 김성룡 기자
    “최근 미국 증시의 변동성은 저가매수 기회입니다.”남동준 텍톤투자자문 대표는 지난 17일 중앙일보와의 인터뷰에서 “매년 발생하는 단기적인 변동성을 견디지 못한다면 수십년간 우상향해 온 미국 주식시장에서 그 어떤 수익도 얻을 수 없다는 경험을 되돌아봐야 한다”며 이같이 말했다.남 대표는 1990년 LG투자증권에서 애널리스트로 투자업계에 발을 들인 뒤 삼성자산운용에서 주식운용본부장(CIO) 등을 지냈다. 2009년에는 일본 노무라자산운용이 자사의 아시아 펀드 한국 주식 운용 담당 매니저로 남 대표를 콕 찍어 지목하며 화제가 됐다. 2015년 텍톤투자자문을 설립해 국내외 주식에 투자하는 자문형랩(Wrap) 등을 운영하고 있다. 지난해 전체 투자 평균 수익률은 약 40%로, 부진했던 국내 주식에서도 30%대의 수익을 냈다.남 대표가 지금 미국 증시에 투자해야 한다고 보는 이유 중 하나는 ‘관세 전쟁’ 이다. 관세 정책은 수혜를 보는 국가와 피해를 보는 국가가 뚜렷하게 갈린다. 미국은 상대국에 관세를 부과하며 미국으로 제조업을 이전하고, 미국 내 투자를 활성화시키려 한다. 남 대표는 “수혜국은 투자를 늘리고, 피해국은 투자를 줄이는 게 당연한 전략”이라며 “특히 미국은 인공지능(AI)으로 산업구조 변화를 주도하며 각종 수혜를 볼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관세 전쟁 공포로 미국 증시가 단기적인 조정을 겪는 시기가 AI 핵심 기업에 투자를 늘릴 기회라는 주장이다.남 대표는 “AI 분야 중에서도 소프트웨어와 보안, 금융 관련 기업을 주목하고 있다”며 “지금까지 AI반도체 등 인프라에는 많은 투자가 이뤄졌지만, 소프트웨어와 이를 활용할 디바이스에는 본격적인 투자가 이뤄지지 않은 만큼 해당 기업을 미리 찾아 투자해야 한다”고 말했다. 다만 “올해는 시장별·종목별 수익이 지난해보다 양극화되고, 기업을 꼼꼼히 선별하지 않으면 초과 수익을 거두기 어려울 것”이라고 했다.올해 상반기에는 일본과 중국 증시도 좋은 성과를 낼 것으로 봤다. 특히 일본에 대해서는 “30여년 간의 구조조정과 응축된 잠재력이 부각되고 있다”며 “탄탄한 제조업 경쟁력을 바탕으로 부진했던 내수가 회복되면 추가 상승이 기대된다”고 말했다. 점진적인 엔화 강세 역시 일본 증시에 긍정적 영향을 끼칠 것으로 봤다. 일본 내수 부양을 위해서는 근로소득과 자산소득 모두를 늘려야 하는데, 이 과정에서 일본 증시가 추가 수혜를 볼 수 있다는 게 그의 전망이다.올해 한국 증시는 어떨까. 그는 “탄핵 등 정치 문제가 일단락되고, 중국 경제 반등으로 수혜가 기대되기 때문에 단기적으로 온기가 돌 것”이라고 봤다. 다만 장기적으로는 한국보다는 미국·유럽·일본 등으로 자산 다변화가 필요하다는 주장이다. 이와 관련 남 대표는 “한국 경제 성장에 유리했던 세계화 추세가 한풀 꺾인데다 AI를 주도하는 한국 기업들이 잘 떠오르지 않는다”고 우려했다.<2025년 3월 21일 중앙일보 지면>
    img
  • Biweekly Report

    Biweekly Report 174_미국 가스터빈 수요 증가 - GE Vernova를 중심으로

    천연가스는 미국 전체 전력 생산의 42%를 차지하는 최대 발전원입니다. 석탄을 대체하고, 태양광 및 풍력의 단점을 보완하는 대안으로서 가스화력발전 수요가 견조하게 증가하는 추세입니다. 밸류체인의 핵심은 가스터빈입니다. 터빈은 기술장벽이 높아 미국, 독일, 일본의 3개 기업이 사실상 시장을 과점하고 있습니다. 1위 GE Vernova는 미국 지역에서의 경쟁 우위를 강화하며 신제품 출하를 확대하고 있어 주목됩니다.CONTENTS- 미국 - 세계 1위 천연가스 소비국- 천연가스 - 가장 중요한 발전원- 미독일 3社가 시장을 과점- 24년 4월 GE 전력사업 분사- 가스터빈의 대형화, 고효율화- 가속 성장의 모멘텀 - 데이터센터* 본 조사분석(리서치)자료 및 영상은 당사가 신뢰할 수 있는 자료 및 정보로부터 얻은 것이나, 당사가 그 정확성이나 완전성을 보장할 수 없으므로 투자자 본인의 판단과 책임하에 종목 선택이나 투자시기에 대한 최종 결정을 하시기 바랍니다. 따라서 본 조사분석자료 및 영상은 어떠한 경우에도 고객의 증권투자 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의 증빙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본 조사분석자료 및 영상의 지적재산권은 당사에 있으므로 당사의 허락 없이 무단 복제 및 배포할 수 없습니다.
    img
Our Solutions
  • Discretionary Contract

  • Advisory Wrap Accou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