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3

Space of Trust to Design Time

Investment enriches our lives only when it strictly adheres to the time, plans, and principles.

People & Culture

The Best
Synergy
No Free Riding
Long Term
Independent Thinking

Global Insights

We provide independent research from global perspectives and the best investment services to our clients.
img
What We Do
Investment changes our lives.
We design the house of investment, the foundation of affluent life.
We ardently nurture it for a long time together with our clients.

Our mission is to invest,
to build the foundation of life
and to establish a robust space of trust
through time and compound interest, planning and designing.

We have been providing global investment services since our incorporation in 2014.
Our investment philosophy is based on independent research, global insights, and principles.
We will continue to build up the best investment company with our true professionals.
Latest from TEKTON
  • Memo

    Memo #96 - 막연한 위험 vs 구체적 기대

    텍톤투자자문 대표 남동준  국가간 갈등을 부추기는 관세전쟁과 달러약세, 미국 채권시장의 불안, 하반기 이후 경기침체 가능성 등이 글로벌 주식시장을 조정장세로 제한할 것이라는 연초 전망이 우세했습니다.  그리고 2년 연속 20%가 넘는 상승과  시장을 이끄는 소수 기업들의 고평가도 조정의 근거였습니다.  위험 요인에 대한 경계심리는 충분히 합리적인 것으로 받아들여졌습니다. 지난 4월 초반, 관세전쟁 여파로 글로벌 주식시장이 평균 15%나 급락하는 상황에서 이 같은 전망은 더욱 힘을 받을 수 밖에 없었습니다.  중간 중간 변동성이 생길 때 마다 인공지능 산업의 과도한 투자, 고용지표 악화 등은 주요 위험 요인으로 부각되었습니다.  그러나, 이 같은 연초 전망은 5월 이후, 도움이 되지 않는 전망이 되어 버렸습니다. 조정장세는 단기에 그쳤고 6개월간 글로벌 주식시장은 이례적인 상승세를 지속하고 있습니다. 급반전한 시장은 하락 폭을 대부분 만회했고  연초 이후 대부분 두 자릿수 이상의 상승률을 기록하고 있으며 국가별로는 사상 최고치를 거듭 경신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합리적으로 생각했던 그 전망은 오히려 기회를 잡으려 했던 투자자들의 발목마저 잡아버린 빗나간 예측이 된 것입니다.  조정장세의 합리적인 근거가 되었던 위험요인들은 “여전히 상존하고 있음에도 ” 불구하고, 시장의 상승세가 지속되고 있는 현상을 어떻게 설명해야 할까요?  우리 곁을  맴돌고 있는 위험요인들보다 재부각된 기대요인들의 영향력이 훨씬 커졌기 때문일 것입니다.  상승하고 있는 주식 시장은 기존의 위험을 ‘부정’한 것이 아니라, 더 큰 기회에 대한 ‘증거’를 확인하고 그 기대요인을 보다 큰 가중치로  가격에 반영해 왔다고 할 수 있습니다.   여러가지 증거 중에서도 가장 핵심은 인공지능 산업에 있다고 할 수 있습니다. 연초 들어 비용대비 효율성에 대한 논란으로 주춤했던 인공지능 산업의 “실체”가 예상보다 급성장 하고 있다는 증거가 2분기 이후 지속적으로 확인된 것입니다.  특히, 빅텍이라고 불리는 대표기업들의 실적과 투자계획에서 주식시장은, 놀라움을 가격 상승으로 반영하지 않을 수 없었을 것입니다. 인공지능의 수요 시그널이 조금은 완화될 것으로 예상했던 빅텍들이 불과 3개월만에 기존의 스탠스를 급하게 변경, 대규모 투자 확대 계획을 발표했기 때문입니다. 공통점은 2024년 대비 대부분 50%이상 투자를 상향 조정하였을 뿐만 아니라 2년 내, 2배 이상의 캐파확충을 목표로 하고 있다는 점입니다.  마이크로소프트는 최근 분기 자본지출이 예상치 300억달러를 상회하는 349억 달러라고 밝혔는데 연간 기준으로는 전년 대비 약 45% 증가할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그리고 향후 2년간 데이터센터 면적을 2배 확대할 것이지만 인공지능 인프라 수요를 맞출 수 없을 정도의 상황이라고 덧붙였습니다.  구글은 3개월 전 조정했던 금액에서 다시  8%나 확대시킨 920억달러의 자본 지출을 발표하였습니다. 이는 70%에 가까운 증가폭입니다. 가장 최근 실적을 발표한 아마존의 경우에도  3분기 342억을 투자한 것으로 파악되는데 연간으로는 전년 대비 51%나 증가시킨 1,250억 달러를 제시하였습니다.  더욱 주목되는 점은 이들 기업들의 실적이 이와 같은 대규모 투자에도 불구하고 시장 예상을 뛰어넘는 견조함을 보이고 있다는 것입니다.  투자 과열과 주가의 고평가 논란에도 불구하고  실적과 현금흐름이 받쳐주고 있는 것입니다. 이익이 가격을 이기고 있다는 것인데 이같은 흐름은 미국 시장 뿐만 아니라 전세계 시장의 인공지능 관련 기업들의 재평가로 확산되고 있습니다. 증거가 있는 기대요인들은 이를 더욱 가속시키고 있습니다.  글로벌 주식시장의 상승세가 지속되다 보니 우려의 목소리도 높아지고 있습니다. 당연한 경계 심리입니다. 정상적인 것이고 합리적인 것입니다. 다만, 주식시장의 거품과 역동적인 호황을 구분하기는 참 어렵습니다. 거품과 호황은 양면으로 공존하기 때문입니다. 중첩되어 있어, 그 경계선을 긋는 것이 어렵습니다. 지금 투자자들에게 필요한 것은 아마도 불가능하다고도 할 수 있는 시장의  고점이나 끝단, 버블이냐 호황이냐를 맞추려고 하는 전망이 아니라는 생각이 듭니다. 수익을 내야 하는 상승장에서 거품을 우려하고, 손실을 최소화해야 하는 하락장에서 오히려 두려움을 잊는 것, 그것보다 치명적인 실수는 없는 것 같습니다.  증거가 누적되는 데이터에 보다 큰 가중치를 두는 것,  현재 시점에서 투자자에게 가장 필요한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2025년 11월 3일
    img
  • Biweekly Report

    Biweekly Report 189_미국 원자력 발전 산업 - 추론용 데이터센터가 앞당기는 변화

    대규모 전력 공급이 용이하고, 탄소배출을 하지 않는다는 측면에서 원자력 발전에 대한 논의가 활발해지는 중입니다. 데이터센터 수요 대응을 위해 2023년~2024년 2년 동안 신규 SMR, 기존 원전 재가동 등을 포함한 27GW 규모의 원자력 발전 프로젝트가 발표되었습니다. 이 중 15GW는 빅테크 기업과 같은 고객사와 장기공급계약(PPA)을 기반으로 합니다. 데이터센터 투자가 집중된 미국을 중심으로 다수의 프로젝트가 추진되고 있습니다.CONTENTS추론용 컴퓨팅 파워 수요 급증데이터센터 향 전력 인프라 확대데이터센터가 촉발하는 신규 원전카메코 - 북미 기반 우라늄 공급망美 행정부 웨스팅하우스 협력투자웨스팅하우스 지분 49% 보유한 카메코미국의 원전 르네상스에 주목* 본 조사분석(리서치)자료 및 영상은 당사가 신뢰할 수 있는 자료 및 정보로부터 얻은 것이나, 당사가 그 정확성이나 완전성을 보장할 수 없으므로 투자자 본인의 판단과 책임하에 종목 선택이나 투자시기에 대한 최종 결정을 하시기 바랍니다. 따라서 본 조사분석자료 및 영상은 어떠한 경우에도 고객의 증권투자 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의 증빙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본 조사분석자료 및 영상의 지적재산권은 당사에 있으므로 당사의 허락 없이 무단 복제 및 배포할 수 없습니다.
    img
  • Global IPO Report

    Global IPO Report #76_Bullish 불리쉬 - 미국의 대표적인 규제 친화적 암호화폐 거래소

    미국 암호화폐 거래소 Bullish (불리쉬)가 8월 13일 미국 뉴욕 시장에 상장되었습니다. 불리쉬는 기관투자자를 주고객층으로 하며, 규제 친화적인 거래소임을 강조합니다. 블록체인 소프트웨어 개발사 Block.one이 개발한 플랫폼으로, 비트코인, 이더리움 등 주요 코인을 거래합니다. 스테이블 코인*에 대해 적극적으로, 스테이블 코인 규제인 GENIUS Act**를 통과했고, IPO 자금을 전부 스테이블 코인으로 수령하였습니다. 불리쉬의 공모가는 $37였으며, 10월 28일 현재가는 $56.31입니다. 공모금액은 11억 천만 달러였으며, 현재 시가총액은 원화기준 약 12.1조원입니다. 공모금은 운영비 지출, 타기업 인수 등에 쓰일 예정입니다. 글로벌 암호화폐 시장은 유통되는 전체 암호화폐 가치 기준 3조 9천백억 달러 규모입니다. 은행과 정부의 통제를 덜 받는 탈중앙화된 시스템으로 수요가 높으며, 핵심기술인 블록체인 기술이 발전하며 시장도 커지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각국에서 관련 규제를 마련하고 거래를 권장하고 있습니다.  *스테이블 코인(Stable Coin):가격 변동성을 최소화하기 위해 법정화폐의 가치에 연동, 가격이 안정적(stable)으로 유지되는 코인.**GENIUS Act (지니어스 법): 스테이블 코인의 발행 및 운영 기준을 규정, 발행 주체, 준비금 관리, 공시 의무 등 규정?CONTENTS - 규제 친화적, 기관투자자 중심 암호화폐 거래소- 블록체인 SW기업 Block.one의 자회사로 출발- 창업자이자 現CEO 브렌던 블루머가 대주주- 디지털 자산 거래소와 정보 분석 서비스 통합- 탈중앙화, 블록체인, 제도권 편입으로 성장하는 암호화폐 시장 출처: Tekedia  * 본 조사분석(리서치)자료 및 영상은 당사가 신뢰할 수 있는 자료 및 정보로부터 얻은 것이나, 당사가 그 정확성이나 완전성을 보장할 수 없으므로 투자자 본인의 판단과 책임하에 종목 선택이나 투자시기에 대한 최종 결정을 하시기 바랍니다. 따라서 본 조사분석자료 및 영상은 어떠한 경우에도 고객의 증권투자 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의 증빙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본 조사분석자료 및 영상의 지적재산권은 당사에 있으므로 당사의 허락 없이 무단 복제 및 배포할 수 없습니다. 
    img
  • Biweekly Report

    Biweekly Report 188_미국 - 세계 2위 ESS 시장의 변화

    미국의 전력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노후화된 전력망을 현대화해야 할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전력 사용처와 발전 설비가 동시에 급증하며 기존 전력망이 감당하기 어려운 부하를 유발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ESS는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효과적인 해결책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요금이 저렴한 시간대나 과잉 생산된 전기를 저장한 뒤 반대의 상황에 방출하여 전력망 운영의 안전성과 효율성을 높이는 것입니다.CONTENTS미국의 ESS 증가세신규 전력수요 급증, ESS 확대북미 ESS 시장 1위 - 테슬라테슬라와 CATL 미국 사업 협력Grid Modernization차익 거래 - ESS로 수익 창출ESS 세액공제 유지* 본 조사분석(리서치)자료 및 영상은 당사가 신뢰할 수 있는 자료 및 정보로부터 얻은 것이나, 당사가 그 정확성이나 완전성을 보장할 수 없으므로 투자자 본인의 판단과 책임하에 종목 선택이나 투자시기에 대한 최종 결정을 하시기 바랍니다. 따라서 본 조사분석자료 및 영상은 어떠한 경우에도 고객의 증권투자 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의 증빙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본 조사분석자료 및 영상의 지적재산권은 당사에 있으므로 당사의 허락 없이 무단 복제 및 배포할 수 없습니다.
    img
Our Solutions
  • Discretionary Contract

  • Advisory Wrap Account